반응형
오늘은전세계약 연장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. 우선 전세계약연장의 종류를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.묵시적 갱신으로 인한 계약연장금액을 올려서 계약서를 추가 작성하는 경우 (전세계약갱신청구권 해당)올린 금액으로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하여 재계약 (5% 초과 전세금 상향 시 해당)이제 하나씩 차근 차근 알아보자. 이건 말 그대로 서로 특별한 의견이 없는 경우, 자동으로 연장되는 것이다. 이 경우, 계약서 작성은 따로 필요없다. 그렇기에 복비도 들지 않는다.계약서 작성이 필요없다는 말은 확정일자를 받을 수 없다는 말이다. 이런 경우, 지금과 같이 집값이 오르고 전셋값이 오른 상태에서 임차인 (전세를 받아 거주하는 사람)은 땡큐이다.하지만, 임차인이 대출을 끼고 있고 그 대출이 반드시 전세계약갱신..
안녕하세요 리뷰인입니다. 오늘은 저번에 쓰려다가 쓰지 않은 빌라 매매에 대한 고찰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빌라는 예전부터 이래저래 말이 많았죠?"빌라는 사봤자 돈이 안 된다.", "빌라 왜 사냐", "깡통전세당할라 빌라는 전세도 들어가지 마" 등의 많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. 필자는 어릴 때 부모님과 함께 빌라에서 자랐으며 현재도 빌라에서 전세로 거주 중입니다 (제가 가진 아파트는 세를 주고 있습니다.). 그래서 인생의 1/3은 빌라, 인생의 1/3은 아파트, 그리고 나머지 1/3은 군대, 기숙사, 오피스텔 등을 살아본 사람으로서 빌라에 대한 좀 더 정확한 고찰을 해드리고자 합니다.1) 가격이 저렴하다. 이게 끝입니다. 빌라는 아파트와 동일한 사양을 가졌음에도 아파트의 절반, 1/3 가격을 형성하고 있..
투자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란?투자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는 우리가 가진 투자 자산 항목의 구성을 말합니다. 어떤 사람은 주식이 주요 포트폴리오 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은 부동산이 주요 포트폴리오 일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어떤 사람은 예금과 적금이 모든 포트폴리오 일 수 있습니다. 그렇다면 왜 투자 자산배분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것일까?1)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2) 밸런싱을 통해 건강한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기 위해서3) 어떤 상황에서도 수익을 내기 위해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합시다. 투자시장에서는 “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”라는 격언이 있습니다. 이 말은 계란이 모두 담긴 바구니에 문제가 생길 경우, 모든 계란이 다 깨지는 상황을 만들지 말라는 의미입니다. 투자 포트폴리오는 이런 한 번에 ..
우선 임차인 편에 배운 것을 복습해보자. 전세계약 연장의 종류를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.1. 묵시적 갱신으로 인한 계약 연장2. 금액을 올려서 계약서를 추가 작성하는 경우 (전세계약갱신청구권 해당)3. 올린 금액으로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하여 재계약 (5% 초과 전세금 상향 시 해당) 자, 여기서 1번 항목인 묵시적 갱신으로 인한 계약 연장 이 부분은 임대인인 사람이 정말 돈이 많거나 부동산 관리를 하는 것이 귀찮을 때 벌어진다고 생각한다. 아니면 임대인이 외국에 나가 있거나.하지만 임대인이 한국에 있다면 가급적 부동산 계약일자를 체크해서 임차인과 새로운 계약을 맺도록 하자.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. 1) 금액을 상향 조절해서 금전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.2) 계약기간을 2년+2년 최대 4년으로 한정..